작성일 : 17-01-02 14:36
[96호] 인권포커스 기획연재...울산 안전한가? ③
 글쓴이 : 사무국
조회 : 7,383  

기획연재...울산 안전한가? ③


국가산업단지 울산의 화학물질과 시민안전





김형근



최근, 11월21일부터 25일까지 국민안전처에서는 20년 이상 노후단지 비율이 68%를 차지하고 있는 6개 국가산업단지 중 유해화학물질, 위험물, 가스 등 취급량을 고려해 40개 사업장을 선정, 이 중 21개 사업장에 대해 유해화학물질, 위험물질, 소방, 전기, 가스분야 전문가와 지자체가 합동으로 현장점검을 실시한 적이 있다.
현장점검 결과, 총330건의 지적사항이 나왔는데, 적발된 내용을 살펴보면 유해화학물질 저장시설의 누출방지용 방류벽 미설치, 염산탱크 지지구조물 부식, 차량하역장소 정전기발생 방지시설 미설치 등 위험요소가 다수 발견되었고, 또 옥내·외소화전 가압 송수펌프 고장, 물 분무 소화설비 게이트밸브 본체균열 등 관리가 부실했으며, 위험물질도 저장소에 허가받은 지정수량을 초과해 보관하는 등 관리가 미흡했는데, 일부 사업장에서는 비상대응 매뉴얼이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았으며 특히 재난대비 훈련도 부실해 사고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연 울산의 석유화학공단 등 산업단지는 위의 내용에서 얼마나 자유로울까? 울산은 2014년 기준,국가산업단지 2개소(울산미포, 온산), 일반산업단지 18개소, 농공산업단지 4개소로 총 24개의 산업단지가 위치한다. 또한, 울산은 이미 매년 화학물질 관련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곳이다. 올해만 해도 역시 6월28일 고려아연 2공장의 황산 유출 사고와 8월3일 효성 용연3공장의 삼불화질소(NF3) 배관 폭발사고를 비롯해 4건의 대형 사고가 발생했는데, 다음의 표를 보면 객관적으로 울산의 위험한 화학물질의 현주소를 알 수 있다.

* 위험물 제조소 등 현황(위험물 통계, 국민안전처, 2015)

 

전국

울산

비율

총계()

114,873

8,092

7.0%

제조소()

1,958

325

16.6%

취급소()

25,002

1,083

4.3%

저장소()

87,893

6,684

7.6%




* 화학물질 유통량, 배출량, 이동량 현황(2012, 환경부)

 

전국

울산

비율

유통량(ton, 2010)

432,542

130,869

30.3%

취급 화학물질()

233

143

61.4%

취급량(ton, 2012)

158,145

57,689

36.5%

배출량(ton, 2012)

51,121

8,513

16.7%




이상의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위험물과 관계있는 공장은 그 수는 적지만 규모가 크기에 유통량 전국 2위,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종류 전국 1위, 취급량(제조, 사용) 전국 1위이고 배출량은 전국 2위이다. 가히 전국에서 가장 위험한 지역이란 증거인 셈이다.
이 모든 것이 사고로만 이어지지 않는다면 괜찮은 걸까? 위의 표 중 배출량은 위험 화학물질을 저장하고 있거나 운반 중에, 그리고 제조공정에서나 환경오염방지시설 등에서 환경 중으로 배출되는 것으로서 주요 배출물질과 배출량은 아래의 표와 같다.

* 울산시 주요 화학물질 배출량(2012, http://ncis.nier.go.kr)

화학물질명

울산배출량(kg/)

전국배출량 대비

비고

자일렌

5,155.5

29.7%

 

에틸벤젠

703.6

30.4%

발암우려물질

톨루엔

547.7

8.3%

사고대비물질

2-프로판올

221.4

10.5%

 

벤젠

67.7

40.6%

발암우려,사고대비물질



통계로는 이렇듯 사고이외 평상시에도 발암물질을 비롯한 여러 휘발성유기화학물질(Vocs)이 대기 중으로 그냥 노출되고 있는 것이다. 화석연료인 석유를 기반으로 한 화학산업의 어쩔 수 없는 필요악인 셈인데, 그렇다고 그냥 받아들일 것인가? 사고는 미연에 방지하는 예방이 중요하고, 만약 사고발생 시는 골든타임 안에 제반의 조치가 유기적, 입
체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 평상시에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모니터링과 투자가 필요하다. 항상 하는 말에 속한다.
어쨌거나 반복되던 말 속에서, ‘울산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가 지난 23일 울주군 청량면 신 일반산업단지 내에 건립되었다. 과거에 비하면 하드웨어가 한 발 진전된 셈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아니 그것보다 우선하여 이루어졌어야할 것이 있다. 바로 지역 주민들이 공유하는 것이다.

년 상반기에 전국에서 발생한 50건의 화학물질 사고 중 관계부처가 지역 주민에게 사고 발생 사실을 알린 사례가 단 한 건도 없었다는 것은 불안을 심각하게 가중시키는 어리석은 짓이다.
우연히 어쩌다 발생한 사고라면 모르는 게 약일 수도 있으나, 엄청난 규모의 시설이 보이고 엄청난 양의 석유기반 화학물질이 취급되고 있음을 일상의 삶에서 느끼는 조건에서는 제대로 아는 게 힘인 법이다.
지역의 주민들이 제대로 알수록 위험 화학물질에 대한 취급과 배출에 대한 콘트롤 파워가 발전할 수 있다. 바로 이 점에서 울산은 전국 최고의 위험가능성에 비해 가장 후진적인 의식을 가짐을 다음의 사실에서 알 수 있다.
부산을 비롯하여 인천, 광주, 경기, 충북, 전북, 전남까지 대규모 산업단지가 있는 지역에서는 ‘화학물질 안전관리 조례’ 와 ‘화학물질 알권리 조례’가 제정되었고, 특히 기초단체이지만 울산과 유사한 석유화학 단지가 밀집한 여수에서도 ‘여수시 화학물질 안전관리 및 지역사회 알권리 조례’가 제정되었다. 울산의 후진성, 어찌 극복할 것인가? 세월호처럼 가만히 있으면 되는가?

※ 김형근님은 탈핵울산공동행동 집행위원장입니다.